[하루에 책 한 권] #축적의 시간 [ 2 / 3 ] '기업의 과제'

in #kr-series6 years ago

축적의 시간
한종훈 | 지식노마드 | 2015.09.15




기업의 과제

책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정부의 과제에서 했으니
오늘은 바로 기업의 과제로 들어가볼게요!




경영자의 자질

경영자의 설명을 들어보면
"일본제나 독일제보다는 못하지만 중국제보다는 좋고,
그래서 독일기계는 10억원받아도되지만 우리기계는 그절반도 못받을겁니다."
라는 식의 두루뭉실한 평가밖에못한다.
이런식으로 감에 의존한 품평은 영업부서에서나 하는얘기지 기술을 제대로 아는 경영자가 할얘기는 아니다.


싼값에 센서를 공급해주는 회사가 전세계에 많으니 굳이 생산할것없이 사다 쓰면 된다고 하는사람이 있지만
개발하지않고 사오는 부품으로는 제품의 사양에 한계가생긴다.
요소기술에서 자체기술력을 가져야한다.

우리 제품의 차별점과 경쟁력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죠.
또한 비용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체기술력차원에서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목표와 퍼스트무버

반도체는 차세대 로드맵이 분명하다.
만약 올해 공정이 15나노핀펫이라고 하면 내년에는 14나노핀펫에 도전하는식으로 목표제시가능하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는 그렇게 눈에들어오는 목표를 제시하기 쉽지않다.
기업은 당장 내년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만으로도 벅찬데 어떻게 5~10년을 내다보고 준비하냐고 생각한다.
겉보기에는 잘나가는산업이지만 묘하게도 차세대 기술을 위한 연구는 비어버린셈이다.

우리나라가 IT강국이라고하지만 정확하게말하면 하드웨어강국이다.
세계시장에서 제품의 가치는 소프트웨어로 옮겨가고있다.
조그만 회사가 퍼스트무버들이 내놓은 서비스를 따라하면서 '우리는 싸게해주겠다'는 식으로 해서는 규모의경제가 충족되지않아서 절대 성공할수없다.
무조건 퍼스트무버가 돼야한다.

세이의 법칙(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이 다른식으로 들어맞는다.
혁신적인 신제품이 신수요를 창출하는 것이지, 원래 수요가 있고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해 신제품이 만들어지는게 아니다.


혁신은 어렵습니다. 어렵다고 남들에게 맡겨놓아야 할까요?
어렵기 때문에 더더욱 행해야 합니다.
그러면 새로운 수요가 생길 거고 시장에서의 좋은 입지를 다질 수 있습니다.




사람중심보다는 시스템 중심 지향

기업의 덩치가 커지는것을 경계하는 사회적분위기와
기업내부에도 순수혈통을 중시하는 문화가 자리잡고있어
인수한 외국기업이 가진 조직문화를 흡수할수있는 화학적 융합능력 부족하다.
국내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혁신하지않으면 시스템보다는 사람 중심으로 기업역량을 키워나가야한다.
중소기업들은 일부장비나 기술을 제외하고는 사실 회사의 중추가 전부 사이다.
저회사를 1억달러 주고샀는데 사고나서 보니까 엔지니어는 다 빠져나갔다면 아무런 의미가없다.
결국 중요한 것은 핵심지식을 축적하고 있는 사람

뛰어난역량을 갖고있는 사람도 회사에서는 중추적인 역할을하기 때문에
시간을 내서 교육을 받게하더라도 오랫동안 빼낼수가없다.
또한 역량을 높여준다고해서 그인력이 계속 남아서 일한다는 보장이없으니 투자하기 꺼려한다.


사람이 가지는 경쟁력과 노하우는 그 사람이 부재하면 더이상 가질 수 없게 됩니다.
이 노하우가 조직 전체에 퍼질 수 있도록 해야하고,
그에 대한 투자를 아낌없이 해야합니다.



.

.

.







패러다임,아키텍쳐,판의 변화,적극적인 자세,실질적인 산학연구 ,장기적 안목,기술금융,공업에대한 이해가 있는
경영자가 필요합니다..








하루에 책 한 권
북스팀 Written by @rogi

image.png




축적의 시간 시리즈

#1 - 정부의 과제

카네기 시리즈

#1 -인간 관계 잘 맺는 법
#2 - 인간 관계의 기본 원칙
#3 - 리더가 되는 9가지 방법
#4 - 상대를 설득하는 방법
#5 - 논쟁에 대한 글
#6 - 타인의 행동을 바꿀 때의 지침


지난글

#1 - 미움 받을 용기
#2 - 미움 받을 용기 2
#3 - 1984
#4 - 수레 바퀴 아래서
#5 - 생각이 바뀌는 1분 특강
#6 - 생각이 바뀌는 1분 특강
#7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8 - 도쿄대 리더육성 수업
#9 - 세상 모든 CEO가 묻고 싶은 질문들
#10 - 철학하라

Sort:  

잘 읽었습니다 다음편이 궁금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책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