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으로 보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 Rising bit coin price seen by Elliot wave

in #kr6 years ago (edited)

엘리엇 파동으로 보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

안녕하세요. 찰나&영겁입니다.

두 번째 상승 시나리오입니다.

미리 이렇게 안될 수도 있다는 것 명심하시고요.

따라 하시라는 거 절대 아닙니다.

부디 제 영상들은 참고나 재미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한가지 시나리오에 빠지면 중요한 걸 놓칠 수도 있습니다.

우를 범하지 않게 치열하게 노력하세요.

항상 시장에 대응하셔야 합니다.

아니다 싶으면 일부 익절 혹은
약간의 손절이라도 하셔야 합니다.

손절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느리면 느릴수록 복구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지요.

약간의 익절이라도 하고 나오려면 진입 자리를
정말 치열하게 최선을 다해서 타이밍을 잡아야 합니다.

항상 참고 혹은 재미로 봐주세요.

자기 자본금은 자신이 지키는 겁니다.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본인이 책임질 수밖에 없습니다.

명심하시고 신중하게 투자하세요.

이번에 얘기할 상승 시나리오는 저번의
상승 시나리오보다 시기적으로 더 빠를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입니다.

비트코인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가장 큰 파동들을 나누어보는 것이죠.

보통 파동이란 엘리엇 파동(Elliott Wave)이 유명하지만 여러 파동이론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깊게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어차피 깊게 설명할 필요도 없죠.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한다는 사실은 파동이론도 똑같거든요.

굳이 깊게 들어갈 것 없이

가격은 파동을 그리며 상승 하락을 반복하는데

파동을 그리면서 형성된다는 것이죠.

보통 산을 삼 세 번이라고 3번 정도 그리고 떨어진다고 보고 있죠.

흑삼병 적삼병 또한 그러한 일종의 파동이론 종류 중 하나입니다.

자금 비트코인의 가장 큰 월봉차트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약 2011년 11월부터 2013년 11월 큰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것을 하나의 큰 파동으로 보는 것이죠.

이번 분석의 중요한 점은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큰 파동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해 보는 겁니다.

2011년 11월에서 2013년 11월까지 첫 상승을 1파 상승

그리고 2013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2차 조정

그리고 2015년 1월부터 현재까지 3파로 보는 것인데요.

문제는 여기서 부터죠.
몇 가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엘리엇 웨이브로 보는 관점입니다.

엘리엇 파동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트레이더 분들이

사용하시는 차트분석 법인데요.

이전 첫 번째 상승 시나리오가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 3파 최고점을 찍고

현재는 4파 하락 중이다.라는 경우의 수라고 본다면

아니다. 아직 3파 상승은 끝나지 않았다. 라고 보는겁니다.

3파에서 세부 파동으로 들어가면 아직

5파 상승이 남아있다라고 보는건데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가장 큰 파동의 4파가 아니라

3파동의 4파라는 것입니다.

즉, 지금이 3파동의 4파를 그리는 중이기에

3파동의 5파가 남아있다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저번 상승 시나리오 보다

상승 시기가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커지죠.

아직 3파동 속에 4파 진행 중이라고 보는 것이니

마지막 상승 5파가 남았다는 뜻이니까요.

물론 마지막 4파가 기간조정을 거치면서 길게

옆으로 늘어지면 반감기 시간을 맞추면서

상승하는 경우도 없는건 아닙니다.

그럼 실질적인 가격의 수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이전 과거 차트에 큰 1파동 속에 4파 최저점과

5파 최고점의 상승률을 보면 2584% 퍼센트 상승했었죠.

이를 지금의 3파동 4파 진입에 기계적으로 대입하면

저번에 얘기했듯이 정해지는 저점에 따라

37,861달러에서 214,183달러로 레인지가 엄청 큽니다.

단지 그 시나리오와 다른 점이 있다면

상승하는 시기가 좀 더 앞당겨진다는 점이 다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하지만 행복 회로 이지요.

실제로 그 정도로 오르려면 단기적으로

엄청난 자금이 유입되야 가능합니다.

실질적으로 자금력이 떨어지는 현재로선 1:1 비율도 못 찍고

떨어지는 경우의 수도 있죠.

3파가 가장 큰 게 아니라 가장 작을 수 없다 이니까요.

또 이런 엘리엇 파동의 대전제는 종종 깨질 때도 있습니다.

즉, 큰 세력들이 맘만 먹으면 얼마든지

차트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것이죠.

물론 큰 차트는 외곡시키기 힘들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만은 아닙니다.

또한 문제가 되는 게 시기적인 문제인데요.

과거의 1파의 4파에서 5파까진 금방 올라갔죠.

4차 하락 최저점부터 5가 상승 최고점까지

몇 개월 안 걸렸습니다.

다 합쳐도 8개월 정도 걸렸네요.

하지만 지금은 약간 반 등 중이지만

아직도 큰 추세는 8개월째 하락 중이죠.

그렇기 때문에 첫 번째 시나리오대로 가는 것인가? 란

생각도 들지만,

또 다른 시각으로 보면 이번 상승은 과거 상승보다 전체적으로

시기가 더 길어지고 있습니다.

과거 가장 큰 파동의 1파가 3파 최고점까지 그리는데 걸린 시간은

약 1년 6개월입니다.

하지만 2파라 짐작되는 곳에 최저점에서

3파동의 1년 6개월 지난 시기는 약 반감기일밖에되지 않습니다.

거의 약 두 배 정도의 기간을 소모하며 상승했죠.

이것은 이미 5파까지 나온 것이 아니냐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움직임의 양상이 과거와는 달리 더 길어졌기에

하락 시간도 더 길어진 게 아닌가라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상승 각도가 이전보단 완만하게 오랫동안 상승했기에

마지막 상승으로 급격하게 나머지 상승 각도를

채우려 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마지막 화려한 불꽃을 터트릴 수도 있죠.

지금의 3파 대 상승이 시간적으로도 전 1파 대 상승에 3가 고점의

약 두 배의 기간 동안 3파의 고점을

만든 게 되니 하락에서 상승도 두 배라고 생각하면

월봉상 7에서 8개의 봉이 남은 셈입니다.

또한 1파의 4파가 4개의 봉으로 두 번의 하락을 찍고,

흔들다 올렸기에 두 배가 늘어나면

시간적으론 7월 늦어도 8월에는 저점을 찍고 올려야 한다는 소리인데요.

너무 촉박하죠.

2019년 1월이나 2월까진 7에서 8개의 봉으로 계속 상승을 해야 한다는 소리가 됩니다.

7월 8월 봉은 여러모로 중요한 자리일 수도 있는 자리네요.

약간 걱정되는 부분은 시기적으로 급격한 상승이 일어나야 한다는 겁니다.

과연 그 정도의 자금 유입이 당장 생길 것인가 하는 생각인 거죠.

또한 지금의 저점이 고점 대비 80% 퍼센트 이상

하락을 안 했기 때문에 지금의 상승이 혹시 휩소가 아닌가 하는 부분입니다.

그냥 줄줄 흐르는 끔찍한 하락보단

워낙 많이 내렸기에 매수 수요가 생겨서

반등을 하고 하락을 시키는 패턴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어떤 급작스러운 일도 일어나 수 있는 게 시장이기에

예단할순 없습니다.

시나리오나 경우의 수들을 생각해놓고,

분할매수 분할매도 혹은 과감한 손절로 대응해야 합니다.

다른 상승의 경우의 수들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참고 혹은 재미로 봐주시고,

이렇게 될 것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될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 경우의 수인 겁니다.

틀릴 수도 있는 겁니다.

그럼 성투하세요.

Sort:  

@moment.eternity, I gave you an upvote on your post!

If you are interested in claiming free Byteballs ($10+), just for having a Steem account, please visit this post for instructions: https://steemit.com/steem/@berniesanders/do-you-want-some-free-byteballs